▲시내버스 준공영제 재정지원 실적(단위 : 억 원, %)

 인천 광역버스 업계의 재정난 호소에 인천시가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8일 인천시에 따르면 인천에 본사를 둔 광역버스 업체는 모두 6개로, 서울과 연결된 19개 노선에서 258대의 버스를 운영하고 있다.

이들 업체는 수인선과 서울지하철 7호선 연장 등 지하철 교통망 확충 여파로 승객이 감소하자 경영 수지 악화에 시름하고 있다.

6개 업체 버스의 작년 이용객 수는 1천433만6천 명으로 전년도 1천541만1천 명보다 6.9% 줄었다.

작년 광역버스 1대당 하루 평균 표준운송원가는 58만8천원인데 실제 운송수입금은 32만4천원이다.

인천 광역버스 업계 적자는 2015년 12억원에서 2016년 19억원으로 급증했고 작년에도 비슷한 수준인 18억원의 적자를 낸 것으로 집계됐다.

상황이 심각해지자 광역버스 6개 업체는 광역버스에도 준공영제를 도입해달라는 호소문을 최근 인천시에 전달했다.

버스 준공영제는 인천시가 대중교통의 공공기능 유지를 위해 버스업체의 적자 일부를 보전해주는 제도로, 2009년 시내버스를 대상으로 도입했지만, 광역버스는 지원 대상이 아니다.

업계는 호소문에서 "광역버스 사업자 일동은 수년 전부터 인천시에 광역버스 경영실태를 보고하고 재정지원을 요청했지만, 반영이 되지 않고 있다"며 "운송 수입 적자가 개선되지 않으면 운행을 중단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시는 광역버스 업계의 어려운 재정 상황을 이해한다면서도 준공영제 확대에는 난감해 한다.

인천시 관계자는 "작년 준공영제 예산으로 904억원을 지출할 정도로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는 점 때문에 광역버스 준공영제는 시의회·업계·시민사회단체와 충분한 시간을 갖고 깊게 논의해야 할 사안"이라고 말했다.

시는 대신 수도권 통합 환승 손실보전금 지원 규모를 작년보다 10% 늘려 지급하고, 올해 6월까지 표준운송원가 검증용역을 마쳐 정확한 손실규모를 따져본 후 금년도 최저임금 인상분을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 남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