멜로 영화

이진우

서른다섯 번을 울었던 남자가 다시 울기 시작했을 때 문득 궁금해집니다

사람이 슬퍼지려면 얼마나 많은 복선이 필요한지

관계에도 인과관계가 필요할까요

어쩐지 불길했던 장면들을 세어보는데

처음엔 한 개였다가 다음엔 스물한 개였다가

그다음엔 일 초에 스물네 개였다가 나중엔 한 개도 없다가

셀 때마다 달라지는 숫자들이 지겨워진 나는

불이 켜지기도 전에 서둘러 남자의 슬픔을 포기해버립니다

이런 영화는 너무 뻔하니까

안 봐도 다 아는 이야기니까

이 사이에 낀 팝콘이 죄책감처럼 눅눅합니다

극장을 빠져나와 남은 팝콘을 쏟아 버리는데

이런 영화는 너무 뻔하다고

안 봐도 다 아는 이야기라고

누군가 중얼거립니다

이런 얘기들은 등뒤에서 들려오곤 하죠

이런 이야기들의 배후엔 본 적도 없는 관객을 다 아는 세력이 있죠

문득 다시 궁금해집니다

뻔한 것들엔 아무 이유도 없는지

안 봐도 안다는 말에 미안함은 없는지

우리의 관계는 상영시간이 지난 티켓 한 장일 뿐이므로

텅 빈 극장엔 불행과 무관한 새떼들이 날아다니고 있을테지만

그것들은 다른 시간대로 날아가지 못합니다

가끔 이유 없이 슬픈 꿈을 꾸기도 합니다 사랑하고 있을 때도 그랬습니다

2023년 조선일보 신춘문예 시 당선작품을 읽는다. 요즘 통통 튀는 젊은 시들을 읽으면서 시 쓰기가 무척 어렵다는 생각을 한다. 시도 가요처럼 변천變遷을 하기에 발맞추어야 하는데 꽉 막힌 길을 달리듯 막막할 때가 많다. 위 시는 읽기에 쉽고 편하다. ‘뻔한 것들엔 아무 이유도 없는지/안 봐도 안다는 말에 미안함은 없는지’ 그러고 보니 이 말에 공감이 간다. 대충 안다고 내 마음대로 해석하여 오해나 오류를 겪은 경험이 많기 때문이다. 삶의 직간접 경험에서 문학이 탄생 되듯이 문학에서 나의 삶의 방향까지는 아니어도 삶의 사소한 착오가 보이는 계기가 된다면 읽는 좋은 시간이겠다.

저작권자 © 남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